본문 바로가기

봄철 산불 예방수칙, 건조한 봄, 대형 산불 막는 예방법 & 대처법

by 유익한 정보공유 2025. 3. 30.

봄이 오면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많은 분들이 야외활동을 즐기지만, 동시에 산불의 위험도 크게 증가합니다.
실제로 최근 10년간 산불의 55.5%가 3~5월 사이에 발생했다고 해요.
특히 3월과 4월, 대형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이니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.

 

 

봄철 대형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?

 

  • 봄철에는 대기가 건조하고, 강풍이 자주 불어 산불이 쉽게 번질 수 있습니다.
  • 특히 소나무 숲은 송진 속 '테라핀'이라는 정유성분 때문에 불이 잘 붙고 오래 탑니다.
  • 연구에 따르면 소나무는 활엽수보다 1.4배 더 뜨겁게, 2.4배 더 오래 탄다고 해요.

 

산불 주요 원인? 대부분 '부주의'!

대부분의 산불은 자연현상보다 사람의 부주의로 발생합니다.

  • 입산자 실화: 31.2%
  • 쓰레기 소각: 12.4%
  • 논·밭두렁 소각: 11.0%

🔥 봄철 날씨 탓도 있지만,
등산객 증가나 불법 소각이 주요 원인이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.

 

 

봄철 산불 예방수칙 꼭 지켜주세요!

 

 

  • 🚫 입산 통제구역과 폐쇄된 등산로는 절대 출입 금지
  • 🚭 산행 중 흡연 및 화기류 소지 금지
  • 🍳 야외에서의 취사, 모닥불 금지 (허용된 장소 제외)
  • 🧯 화기 사용 후에는 반드시 불씨 완전 소화 확인
  • 🗑 영농부산물 및 쓰레기 불법 소각 절대 금지
  • 🧱 집 주변 1.5m 이내는 불에 타지 않는 재료(돌, 흙 등)로 정비
  • 🌿 창가에는 수분 많은 식물 가꾸기
  • 🍂 지붕, 테라스 낙엽 및 가지 수시로 정리
  • 📦 쓰레기, 건초, 자재 등은 집과 떨어진 곳에 보관

❗ 산불 예방수칙 위반 시 과태료 또는 징역형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
(최대 3천만 원 벌금 / 3년 이하 징역)

 

산불 발생 시 이렇게 대처하세요

 

 

  1. 즉시 119에 신고 (스마트산림재난 앱 활용 가능)
  2. 산과 멀리 떨어진 도로 이용해 대피
  3. 불의 반대 방향으로 하산
  4. 수건 등으로 코와 입 가리기 (연기 흡입 방지)
  5. 대피가 어려울 경우: 바람을 등지고 엎드려 낮은 자세 유지

 

우리의 산림, 우리가 지켜요!

작은 불씨도 대형 산불로 번질 수 있는 봄철.
우리 모두의 노력으로 소중한 산림과 생명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.

👉 등산 시 화기 소지 금지
👉 영농부산물·쓰레기 소각 금지
👉 출입 제한 구역 출입 금지